내가 변형 불가리안 메소드를 하게 된 이유
야들러 3사이클 이후 나만의 루틴을 만들어보겠다고 방황하다가 다시 스트렝스 프로그램을 찾게 되었다. (내가 만든 프로그램은 체계적이지 않았다.)
선정기준
1. 데드리프트가 빡쌔지 않을 것
-> SIMPLE POWERLIFTING TEMPLATE이라는 어플을 보면 데드리프트를 저,중,고강도로 선택할 수 있었다. 평소 데드리프트를 하면 몸에 무리가 가는것 같아(taxing이라고 표현하더라) 저강도로 해봐야 겠다는 판단을 하였다.
2. 고빈도 프로그램일 것
->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운동루틴은 주 2~3회정도 휴식을 취하는데 운동을 하지 않는 날에 너무 심심했다. 확실히 휴식을 하면서 성장하는 느낌은 있지만 예전처럼 다시 고빈도 프로그램을 해보고 싶었다.
3. 3대 중량을 확실히 높여주는 프로그램일 것
-> 변형 불가리안 메소드는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100% 3대 운동 증량을 보장한다고 한다. 영상의 설명에서는 초보자 뿐만 아니라 중급자, 상급자도 한달에 40kg정도 증량에 성공했다고 한다. 이건 내가 직접 겪어봐야 더 말할 수 있을 것 같다. 현재 내 3대운동 중량은 400이 조금 넘는데, 한달 뒤 어떻게 변할지 궁금하다.
훈련 방법
1. 알아야 할 선행 개념
- 운동 자각도(RPE)
RPE 7 : 세 개정도 더 할 수 있음
RPE 8 : 두 개정도 더 할 수 있음
RPE 9 : 겨우겨우 하나 더 할 수 있음
RPE 10 : 실패지점
-> 변형 불가리안 메소드는 운동자각도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임
(절대적 중량이 아니라 그날 컨디션에 따른 상대적 중량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됨)
- Dm(Daily minimum) : 1rm의 80%
->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들 수 있는 무게
DM(Daily Maximum) : 1rm의 90%
2. 자세한 훈련 소개
훈련 순서 : 스쿼트 - 벤치프레스 - 당기기(풀업) - 데드리프트 순으로 진행
각 단계 안에서 총 4단계로 분류됨
워밍업 단계 - 1차 판단 - 2차판단 - 백오프
1> 워밍업 단계
1rm의 50%로 4회 , 60%로 3회, 70%로 2회 실행
2> 1차 판단
Dm 1회 시도
-> 무겁다 => 다음 종목으로 넘어감
-> 안 무겁다 => 2차판단으로 넘어감
3> 2차 판단
DM 1회 시도
-> 무겁다 => 다음 종목으로 넘어감
-> 생각보다 안 무겁다 => 백오프 세트로 넘어감
4> 백오프
Dm 무게로 3회 반복 => RPE9 될 때까지 무한으로 세트 반복
<추가 RULE>
- 주 4회 이상 (4~7회) 훈련
- 3주 운동 + 1주 휴식을 반드시 지켜주어야 함.
- 데드리프트는 월, 목으로 실시해주며, 쉬는 시간은 1분(비교적 가벼운 느낌으로 가져감-> 어플에서는 난이도 설정가능)
- 세트간 휴식은 3~7분
- 보조운동은 왠만하면 하지 않음.(풀업정도만 추가 가능)
3. 증량 판단
- 2차 판단에서 3~4회 정도 들수 있겠다(RPE 7.5정도)고 생각이 들 때 스쿼트, 데드리프트 5KG 증량, 벤치프레스 2.5KG 증량
글을 마치며
야들러 이후로 한 프로그램에 정착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었는데 내일부터는 야가리안으로 한번 달려볼 생각입니다. 한달 뒤에 어떤 결과가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. 프로그램을 어느정도 돌려본 뒤 후기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 끝으로 제가 공부한 야추님의 영상을 링크로 걸어두도록 하겠습니다.
아마 댓글창에서 액셀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. 저는 핸드폰 어플인 SIMPLE POWERLIFTING TEMPLATE을 사용할 예정입니다.
'운동루틴리뷰(헬스, 파워리프팅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운동루틴리뷰11> 저거넛 ai 프로그램 사용 리뷰(계속 업데이트/업데이트 완료) (0) | 2022.04.02 |
---|---|
<운동루틴리뷰10> 변형 불가리안 메소드(야가리안) 후기 (0) | 2022.04.02 |
<운동루틴리뷰8> 마른 사람이 살찌는 방법(58kg->83kg) (0) | 2022.04.02 |
<운동루틴리뷰7> 헬스 분할법 정리(무분할, 2분할, 3분할, 4분할, 5분할, 어떤 분할법이 좋을까?) (0) | 2022.04.02 |
<운동루틴리뷰6> 1년 동안의 3대 운동 변화 (0) | 2022.04.02 |